home > 도수교정클리닉 > 휜다리

휜다리

  •  

    무릎관절각이 정상 범위에서 2표준편차를 벗어난 내반슬(안쪽으로 휜 슬관절, O다리) 및 외반슬(바깥쪽으로 휜 슬관절, X다리)을 말합니다.

    휜다리의 공통적인 구조적 증상은 불균형한 좌우 골반과 고관절의 연결 상태가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틀어져서 연결 부조합으로 인한 골반변위 증상을 동반합니다.

    무릎관절이 안쪽으로 더욱 틀어져 나타나는 내반슬 구조를 동시에 갖게 되므로 근본적인 휜다리 교정을 위해서는 다리관절의 연결 상태와 골반의 균형 상태 및 척추 균형 상태를 동시에 분석하여 전체적으로 교정을 해야 합니다.

     
     
     
     
     

    다리가 휘게 되는데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는데 선천적으로는 유전적/인종적/성별 등에 따른 원이 있을 수 있고 후천적으로는 직업적/나이/문화적 차이/질병 등에 따른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휜다리는 후천적인 평소 생활에서 얼마나 바르게 생활하였는지에 따라서 더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평소 올바른 생활습관과 바른 자세를 유지하는데 신경을 써야합니다.

     

    선천적 원인: 유전적요인, 기마민족으로서의 인종적 요인, 태아시기의 웅크린 자세 등이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신생아의 경우 태어나면서부터 내반슬 상태에 있으며 이후 성장하면서 4~5세 내에 대부분 정상적으로 회복됩니다.

     

    후천적 원인: 좌식생활이라는 동양인의 생활습관과 운동부족, 바르지 못한 평소의 나쁜 자세에 의한 것으로 밝혀지고 있습니다. 좌식생활이 다리를 휘게 하는 것은 바닥에 앉아있을 때 특히 고관절, 무릎관절이 심하게 접히면서 관절주변의 인대가 늘어나 느슨하게 되고 그 상태에서 선 자세를 취하면 체중이 가해지면서 고관절이 회전하여 뼈의 바른 정렬상태를 유지 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내반슬(O형다리): 고관절이 좌, 우 같이 전방 전위 되어 있고 무릎이 안쪽으로 구부러져 있기 때문에 고관절의 앞부분에서 긴장되어 발에 걸리는 압력이 외측으로만 걸려 평발이 됩니다. 그에 따라 하퇴부도 휘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어서서 양쪽다리의 복사뼈를 붙여 양쪽무릎이 붙지 않는 경우에 해당됩니다.

     

    외반슬(X형다리): 고관절이 좌, 우 같이 후방 전위 되어 있고 무릎이 안쪽으로 휘어져 있기 때문에 고관절의 뒤쪽 굴곡이 긴장되어 걸을 때 무릎이 부딪혀 보행이 곤란하게 됩니다. 이러한 증상이 더 진행되면 아킬레스건의 경직증상을 일으켜 보행장애를 일으키게 됩니다. 일어서서 양쪽다리의 무릎을 붙여 양쪽 복사뼈가 붙지 않는 경우에 해당됩니다.

     

    반장슬: 무릎관절이 뒤로 휘어 나타나는 것을 말합니다. 무릎을 폈을 때 정상보다 약 10도 이상 과신전된 상태를 말하고 무릎이 뒤로 휘어져 있으며 슬개골이 뒤로 밀려나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휜정도가 심할수록 무릎관절에 실리는 체중의 부담이 증가

    관절의 퇴행성변화가 가속화되면 심한 경우에는 젊은 나이에도 퇴행성관절염으로 통증 발생

    무릎이 벌어지는 것과 동반하여 다리의 내·외측 근육 기능의 균형이 깨짐

    골격의 역학적인 관계가 변화되어 골반도 기울어지고 허리가 휘는 등 체형의 변형 hfo

    고관절의 외회전근의 약화(엉덩이가 쳐지는 증상)

    여성들 중 고관절이 넓다고 생각하는 경우 고관절이 안쪽으로 돌아가는 현상

    대전자 부분이 돌출되어 있는 증상 초래

     
     
     

    골격의 변화가 일어난다.

    골반이 기울어진다.

    허리가 휘어진다(척추측만증).

    골반이 넓은 경우 고관절이 튀어 나와있다.

    무릎관절이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틀어져있다.

    아킬레스건이 휘어진다.

    발이 평발이 된다.

     
     
     
     

    고관절, 골반, 무릎관절이 휘어진 각도 측정

    틀어진 무릎뼈의 방향 각도 측정

    벌어진 슬관절 측정(5cm이상 벌어진 경우는 심한 휜다리임)

    족부 측정(내전, 평발 여부, 아킬레스건이 휘어짐 유무 확인)

    골반 균형 상태 측정

    척추 균형 측정(척추측만증, 일자목등 확인)

    고관절 내외전 각도 측정

    휜다리 근육테스트

     
     
     
    • 변형이 있을 경우 미용상의 이유로 치료를 하기도 하지만 향후 비정상적인 체중 부하로 인해 퇴행성 관절염 발생 빈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적절한 치료가 중요합니다.
    • 도수치료: 근막치료, 관절가동술 치료, 교정 치료
    • 운동치료: 개인 맞춤 운동치료
    • 기계치료: 특수 장비를 이용한 자세 교정 및 근육 이완 치료
    휜다리란
     

    무릎관절각이 정상 범위에서 2표준편차를 벗어난 내반슬(안쪽으로 휜 슬관절, O다리) 및 외반슬(바깥쪽으로 휜 슬관절, X다리)을 말합니다.

    휜다리의 공통적인 구조적 증상은 불균형한 좌우 골반과 고관절의 연결 상태가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틀어져서 연결 부조합으로 인한 골반변위 증상을 동반합니다.

    무릎관절이 안쪽으로 더욱 틀어져 나타나는 내반슬 구조를 동시에 갖게 되므로 근본적인 휜다리 교정을 위해서는 다리관절의 연결 상태와 골반의 균형 상태 및 척추 균형 상태를 동시에 분석하여 전체적으로 교정을 해야 합니다.

     
     
     
     
    휜다리 원인
     

    다리가 휘게 되는데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는데 선천적으로는 유전적/인종적/성별 등에 따른 원이 있을 수 있고 후천적으로는 직업적/나이/문화적 차이/질병 등에 따른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휜다리는 후천적인 평소 생활에서 얼마나 바르게 생활하였는지에 따라서 더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평소 올바른 생활습관과 바른 자세를 유지하는데 신경을 써야합니다.

     

    선천적 원인: 유전적요인, 기마민족으로서의 인종적 요인, 태아시기의 웅크린 자세 등이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신생아의 경우 태어나면서부터 내반슬 상태에 있으며 이후 성장하면서 4~5세 내에 대부분 정상적으로 회복됩니다.

     

    후천적 원인: 좌식생활이라는 동양인의 생활습관과 운동부족, 바르지 못한 평소의 나쁜 자세에 의한 것으로 밝혀지고 있습니다. 좌식생활이 다리를 휘게 하는 것은 바닥에 앉아있을 때 특히 고관절, 무릎관절이 심하게 접히면서 관절주변의 인대가 늘어나 느슨하게 되고 그 상태에서 선 자세를 취하면 체중이 가해지면서 고관절이 회전하여 뼈의 바른 정렬상태를 유지 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휜다리 유형
     

    내반슬(O형다리): 고관절이 좌, 우 같이 전방 전위 되어 있고 무릎이 안쪽으로 구부러져 있기 때문에 고관절의 앞부분에서 긴장되어 발에 걸리는 압력이 외측으로만 걸려 평발이 됩니다. 그에 따라 하퇴부도 휘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어서서 양쪽다리의 복사뼈를 붙여 양쪽무릎이 붙지 않는 경우에 해당됩니다.

     

    외반슬(X형다리): 고관절이 좌, 우 같이 후방 전위 되어 있고 무릎이 안쪽으로 휘어져 있기 때문에 고관절의 뒤쪽 굴곡이 긴장되어 걸을 때 무릎이 부딪혀 보행이 곤란하게 됩니다. 이러한 증상이 더 진행되면 아킬레스건의 경직증상을 일으켜 보행장애를 일으키게 됩니다. 일어서서 양쪽다리의 무릎을 붙여 양쪽 복사뼈가 붙지 않는 경우에 해당됩니다.

     

    반장슬: 무릎관절이 뒤로 휘어 나타나는 것을 말합니다. 무릎을 폈을 때 정상보다 약 10도 이상 과신전된 상태를 말하고 무릎이 뒤로 휘어져 있으며 슬개골이 뒤로 밀려나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휜다리 증상
     

    휜정도가 심할수록 무릎관절에 실리는 체중의 부담이 증가

    관절의 퇴행성변화가 가속화되면 심한 경우에는 젊은 나이에도 퇴행성관절염으로 통증 발생

    무릎이 벌어지는 것과 동반하여 다리의 내·외측 근육 기능의 균형이 깨짐

    골격의 역학적인 관계가 변화되어 골반도 기울어지고 허리가 휘는 등 체형의 변형 hfo

    고관절의 외회전근의 약화(엉덩이가 쳐지는 증상)

    여성들 중 고관절이 넓다고 생각하는 경우 고관절이 안쪽으로 돌아가는 현상

    대전자 부분이 돌출되어 있는 증상 초래

     
     
    휜다리 자가진단
     

    골격의 변화가 일어난다.

    골반이 기울어진다.

    허리가 휘어진다(척추측만증).

    골반이 넓은 경우 고관절이 튀어 나와있다.

    무릎관절이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틀어져있다.

    아킬레스건이 휘어진다.

    발이 평발이 된다.

     
     
     
    휜다리 평가
     

    고관절, 골반, 무릎관절이 휘어진 각도 측정

    틀어진 무릎뼈의 방향 각도 측정

    벌어진 슬관절 측정(5cm이상 벌어진 경우는 심한 휜다리임)

    족부 측정(내전, 평발 여부, 아킬레스건이 휘어짐 유무 확인)

    골반 균형 상태 측정

    척추 균형 측정(척추측만증, 일자목등 확인)

    고관절 내외전 각도 측정

    휜다리 근육테스트

     
     
    휜다리 치료
     
    • 변형이 있을 경우 미용상의 이유로 치료를 하기도 하지만 향후 비정상적인 체중 부하로 인해 퇴행성 관절염 발생 빈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적절한 치료가 중요합니다.
    • 도수치료: 근막치료, 관절가동술 치료, 교정 치료
    • 운동치료: 개인 맞춤 운동치료
    • 기계치료: 특수 장비를 이용한 자세 교정 및 근육 이완 치료

X

사이트 개편후 어떠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