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치료후기 입퇴원안내

  •  
     
    추나요법이란 글자 그대로 인체의 삐뚤어진 뼈와 관절 및 근육을 밀고 당겨서 정상 위치로 환원케 하는 치료법으로 교정 요법인 추법과 나법, 그리고 약물 요법을 포함한 일련의 치료법을 말한다. 한마디로 정상을 벗어난 뼈를 바르게 맞춰주는 수기 치료법이다.
     
     
    1. 장시간에 걸쳐 운전하기등의 오랫동안 앉아 있는 경우
    2. 무거운 물건을 반복해서 듣기.
    3. 무릎등의 다른 관절 질환으로 인해 몸의 균형이 무너진 경우
    4. 교통사고 등의 외상
    5. 선천성 기형
     
    -허리의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 허리와 다리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 엉덩이 부위까지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 다리와 엉덩이 부위의 통증만 호소하는 경우 등 디스크의 압박부위에 따라 다양한 양상이 나타납니다. 일반적으로 다리부위 허리에서 멀어지는 통증이 나타날수록 디스크로 인한 질환이 심각하다고 합니다.
    -허리부의의 통증이외에도 엉덩이, 허벅지, 종아리, 발가락까지 통증 및 저린증상, 감각이상, 아주 심함 경우 근력 저하까지 나타나게 됩니다.
     
     
    요추 디스크 치료방법
    약침, 봉침 요법
    염증을 일으킨 디스크와 신경근 부위를 강력한 소염작용과 진통작용을 가지고 있는 하나방 약침, 봉침으로 치료합니다. 대부분의 증상은 디스크와 신경근 부위의 염증에 의해 생기는 것입니다. 이 염증을 제거하는 것이 가장 일차적인 치료입니다.
     
    침구요법
    전통한방요법으로 침을 이용하여 기를 순환시키고 통증을 제어합니다.
     
    추나요법
    어긋나 있는 척추와 그로인해 압박을 받고 있는 신경근을 찾아 바로 잡아줍니다.
     
    약물요법
    초기에는 염증을 제거하고 주변의 경직되어 있는 근율을 풀어줄 수 있는 약물처방으로 진통작용을 돕고 후기에는 약해진 주변 인대조직과 디스크를 강화시켜주는 약물처방으로 재발을 방지합니다.
     
    운동요법
    통증이 줄어들기 시작하면 후에 재발 방지를 위해 운동은 필수입니다. 목 주변의 근육, 허리 척추 주변근육과 복근을 강화하는 운동을 단계에 맞추어하게 되면 이후 디스크의 재발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잘못된 운동은 오히려 통증을 증가시킬 수 있으니 전문의의 진단과 운동치료사의 방법에 맞춰 단계별로 진행하는 것이 옳은 방법입니다.
     
     
     
     
    1. 머리를 앞으로 내미는 구부정한 자세
    2. 사고 등 직접적인 충격으로 목이나 관절에 이상이 오는 경우
    3. 높은 베개등의 생활 습관
    4. 여타의 관절질환으로 몸의 균형이 무너진 경우
    5. 선천성 기형
     
    -목의 디스크 질환의 경우 오래된 목의 통증을 가지고 있으면서 점차적으로 어깨, 발, 손 부위로 저림, 감각저하, 감각이상, 통증, 근력이 떨어지는 증상들이 나타납니다. 심지어 두통까지도 같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저린 증상의 경우 디스크의 위치에 따라 달라지며 손 전체가 저린 증상 보다는 특정부위의 저린 증상이 주로 나타납니다.
    -디스크 질환외에도 손과 팔이 저린 증상을 가진 질환이 많으므로 위와 같은 증상이 있는 경우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경추 디스크 치료방법
     
    약침, 봉침 요법
    염증을 일으킨 디스크와 신경근 부위를 강력한 소염작용과 진통작용을 가지고 있는 하나방 약침, 봉침으로 치료합니다. 대부분의 증상은 디스크와 신경근 부위의 염증에 의해 생기는 것입니다. 이 염증을 제거하는 것이 가장 일차적인 치료입니다.
     
    침구요법
    전통한방요법으로 침을 이용하여 기를 순환시키고 통증을 제어합니다.
     
    추나요법
    어긋나 있는 척추와 그로인해 압박을 받고 있는 신경근을 찾아 바로 잡아줍니다.
     
    약물요법
    초기에는 염증을 제거하고 주변의 경직되어 있는 근율을 풀어줄 수 있는 약물처방으로 진통작용을 돕고 후기에는 약해진 주변 인대조직과 디스크를 강화시켜주는 약물처방으로 재발을 방지합니다.
     
    운동요법
    통증이 줄어들기 시작하면 후에 재발 방지를 위해 운동은 필수입니다. 목 주변의 근육, 허리 척추 주변근육과 복근을 강화하는 운동을 단계에 맞추어하게 되면 이후 디스크의 재발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잘못된 운동은 오히려 통증을 증가시킬 수 있으니 전문의의 진단과 운동치료사의 방법에 맞춰 단계별로 진행하는 것이 옳은 방법입니다.
     
     
     
     
    -뇌에서 나온 척추 신경이 자나가는 공간을 척추관이라고 하는데 척추관은 척추에 있는 동그란 구멍이 여러 척추가 이어지면서 이루는 공간입니다.
    -위, 아래 척추를 서로 강하여 연결해주는 인대(황색인대)가 두껍게 변형이 되거나, 척추에 이상 자극으로 인해 뼈(골극)가 자라나 척추관이 좁아져서 일어나는 병을 척추관 협착증이라고 합니다.
    -척추관협착증은 디스크와 증상은 비슷하지만 퇴행성 변화로 인해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35세 이상의 연령에서부터 시작되며 보통 50~60대에 많이 나타납니다.
     
    -허리 통증과 다리의 저린 증상으로 인해 디스크 질환으로 오인하기가 쉽습니다.
    -협착증의 특징은 짧은 거리를 걸은 이후에 다리의 통증이 나타나 자주 쉬었다 걷기를 반복합니다. 누워서 휴식을 취하는 경우에는 다리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다가 활동을 시작하면 다리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휴식을 취하는 동안에는 주로 허리 통증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척추관협착증 치료방법
    약침, 봉침 요법
    두꺼워진 인대부위와 자극으로 인해 생긴 염증을 소염작용과 진통작용을 가지고 있는 한방 약침, 봉침으로 치료합니다.

    침구요법
    전통한방요법으로 침을 이용하여 기를 순환시키고 통증을 제어합니다.

    추나요법
    퇴행성변화로 인해 압박을 받는 부위를 찾아 이완시켜주는 요법으로 통증을 경감시켜줍니다. 주변 조직의 이완을 통해 기혈순환을 돕습니다.

    약물요법
    주변의 경직되어 있는 근육을 풀어줄 수 있는 약물처방으로 진통작용을 돋고 퇴행성 변화를 늦추는데 도움을 주는 약물처방으로 증상의 진행을 막습니다.

    운동요법
    협착증의 경우 활동후에 심해지는 통증으로 인해 홀로 운동을 진행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통증으로 인해 운동을 소홀히 하면 협착증 증상이 호전된다 하더라도 다른 허리 질환이 나타나기 쉽습니다. 적절한 통증 제어와 함께 복근과 허리 주변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을 통해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척추는 위와 아래로 서로 연결되는 부분이 3부분이 있는데 척추의 몸통부위는 디스크를 통해 연결이 되고 척추 뒤편 양옆으로 돌기가 있어 위와 아래를 연결합니다.
    -척추분리증은 상하를 연결하는 돌기 사이가 금이 가 이부분이 결손이 있는 것을 분리증이라고 하고 척추가 바르게 정렬되지 못하고 앞으로 밀려 나오는것을 척추전방전위증이라고 합니다.
     
    -원인은 확실치 않으며 퇴행성으로 인하거나 다른 척추질환이나 수술 후에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척추분리증이 반드시 척추전방전위증으로 진행되는 것은 아니지만 진행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분리증이 있는 경우 지속적인 관찰과 관리가 필요합니다. 척추분리증의 경우 임상적인 증상과 연관이 없는 경우도 많습니다.
    -척추전방전위증은 주로 소아기 후반이나 사춘기 초기에 격렬한 스포츠에 참갛랄 기회가 증가하면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주된 호소 증상은 허리 통증이며 자세가 이상하거나 어정쩡한 보행 모양(무릎을 굽힌)이 나타납니다. 전방전위가 많이 진행되는 경우 신경을 압박하여 다리, 엉덩이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척추분리증/전방전위증 치료방법
     
    추나요법
    분리증이 발생한 부위의 압박을 해소시켜주며 전위증이 일어난 경우 추체를 바르게 교정하는 추나요법을 통해 증상을 완하시킵니다.
     
    운동요법
    척추를 감싸고 있는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을 하여 흔들리는 척추를 고정할 수 있게끔 도와줍니다.
     
    침구 약침요법
    침과 뜸을 통해 통증을 없애고 분리된 척추주변의 인대와 근육을 강화시켜줍니다. 전위증이 심한 경우 염증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봉침요법을 사용합니다.
     
    약물요법
    약해진 인대와근육을 강화시켜주는 약물처방으로 전방전위가 진행되는 것을 막습니다. 질환이 나타나기 쉽습니다. 적절한 통증 제어와 함께 복근과 허리 주변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을 통해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X

사이트 개편후 어떠세요?